분류 전체보기
![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h508%2FbtrStz9IUyS%2FE6AOOtIqDGbci5VkPLOeKk%2Fimg.png)
[React] CRA 에서 proxy 가 동작하지 않아요!
2022.8.25 (목) 작성 1. 에러❗️ create-react-app으로 앱을 만들고, proxy 설정을 한 뒤 axios로 GET 요청을 보냈다. 그런데 응답이 안 오고 내 리액트 앱의 html 문서가 뜬다! 2. 상황 CRA로 리액트 앱을 만든 뒤, 아래처럼 package.json에 프록시 설정을 주었다. 그리고 다음과 같이 단순한 앱을 구성해 응답을 받아오게 만들었다. import { useState } from "react"; import axios from 'axios'; function App() { const [data, setData] = useState(""); const handleClick = () => { axios.get("/") .then(res => { console.lo..
[TIL] #4. HTML
2022.4.29. (금) 1. 오늘의 소감 오늘은 자바스크립트가 아닌 HTML 수업이었다. HTML은 웹문서의 구조를 짜는 마크업 언어이다 보니까, 복잡한 부분이 적었다. 물론 제공되는 강의는 매우 기초적인 부분이었기에 제대로 다루려면 더 깊은 공부가 필요하겠지만, 자바스크립트로 달궈진 뇌를 한 번 식혀주는 파트였다. 페어 프로그래밍 없이 솔로로 진행하는 날이었는데, 조금 반성하자면 딴짓을 많이 했다. 쉬운 파트라 그런지 오전 중으로 종합퀴즈도 일찍 풀어버리고, 딴짓하다가 공부하고, 또 딴짓하다가 공부하고를 반복했다. 아무래도 진도가 정해져있는 부분이 끝나면 뭘 할지 정해놓지 않아 생긴 문제인 것같아서, 시간이 남으면 저번 시간 거 복습 + 백준 알고리즘 풀기를 하기로 정했다. 백준 알고리즘을 자바스크..
[TIL] #3. 이중 반복문
2022.4.28. (목) 1. 오늘의 소감 코드스테이츠 크루님이 말하길, 개발 입문단계에서 입문자를 고통스럽게 하는 3대장이 있다고 한다. 1대장 반복문, 2대장 이중 반복문, 3대장 재귀... 반복문의 개념을 익히고 기본 반복문 문제를 풀 때까지는 좋았다. 하지만 이중 반복문 문제를 만나고 나서는(절레절레) 구구단 예제 정도야 음, 이렇게 쓰면 되겠다! 하고 바로 풀수 있었다. 하지만 출력값이 복잡한 문제를 만나니 머리가 아프다. 다음에 이중반복문을 만났을 때 당황하지 않기 위해서 파악한 팁을 써 본다. 이중 반복문 풀이법 우선은 문제를 이해한 뒤, 출력코드 3가지 예시 정도를 훑어보자. 입출력을 파악하는 게 먼저다. 공통점이 보인다면 예외처리와 함께 공통적인 부분은 미리 해치우는 게 좋다. 그래야 ..
[TIL] #2. String 메서드
2022.4.27. (수) 1. 오늘의 소감 힘들었지만... 뿌듯하다! 조건문 코플릿이 뒤로갈수록 난이도가 급상승! 하는 바람에 진땀을 뺏다. 분명 쉬워보였는데 테스트 실행시켜보면 빨간색이 범람하고...😢 가령 점수에 따라 A ~ F까지 등급을 메기는 문제의 경우, 100초과 0 미만을 값들을 처음에 안 걸러줘서 조건식이 꼬였다. 레퍼런스 코드를 보고나니 큰 깨달음을 얻었다.(즉, 예외처리를 초반에 해버리자!) 이것만으로도 복잡한 코드가 많이 단순해진다. 그리고 if 문에서 else 를 굳이 난발할 필요 없다. if 문 안에 return 이 있는 경우, 다음 조건문에 굳이 else를 안써도 잘 작동한다. 가독성도 더 좋고. 처리할 필요 없는 예외값들은 미리 처음부터 조건식을 써서 걸러버리는 게 깔끔한 코..
[TIL] #1. 첫 페어 프로그래밍
2022.4.26. (화) 1. 오늘의 소감 코드스테이츠 첫 페어 프로그래밍 소감... ‘이거...제법 괜찮은데?’ 첫 페어분을 만나 함께 코플릿을 풀었다. 어색한 기류를 뚫고 자기소개도 하고 같이 문제에 집중하다보니까 시간이 훌쩍 지나가 있어서 놀랐다. 확실히 짝과 함께 코딩하니까 딴짓도 안 하게 되고 문제풀이에 더 몰입하게 되더라. 특히 상대방에게 코드를 설명하거나 질문하면서, 기술적 용어를 정확하게 말하는 연습도 하게 되고. 물론 아직 첫 수업이여서 문제 난이도가 평이했기때문에, 설명할 내용이 많지 않았다. 게다가 내 첫 페어분은 코딩을 어느정도 배우고 현업에서도 짧게 일해보신 분이라서 문제 진행도 훨씬 수월했다. 다만 아쉬웠던 점은, 이번 코플릿은 둘 다 쉽게 풀 수 있는 내용이다보니 제대로된 네..
![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EtbiC%2FbtrSSLpx6IB%2Frf61YLhUx3gna68mw0qku0%2Fimg.gif)
이전 TIL 포스팅 공지 (#1부터 #30까지)
✍️ 일러두기 ❗️#1 ~ #30 TIL은 "코드스테이츠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39기"를 진행하면서 작성한 TIL입니다. ※ 부트캠프에서 TIL을 매일 작성하진 않았고, 개인적인 내용이 들어있는 일차는 제외하였기 때문에 날짜가 연속적이지 않습니다. 💌 우왕좌왕했던 기록이지만 그래도 올려보기 개인 노션을 재정비하던 중, 예전에 적어둔 TIL 다시 보게 되었습니다. 사실 이전의 TIL 은 개인 노션에 부랴부랴 기록해둔 거라 어설픈 내용이 많아요ㅎㅎ 지금도 코딩을 잘한다고는 못하지만, 당시에는 거의 병아리도 아닌 달걀 상태였거든요. 그런데 그 아쉬운 기록들이 저에게 동기부여가 되더라고요. npm install을 처음 한 기록, 지금을 잘 쓰게 된 배열 고차 함수를 처음 배운 기록, 리액트를 처음 사용해본 기록...